현대행정이론 속 합리주의 연구: 책임행정을 위한 함의를 중심으로A Discussion of Rationalism within the Modern Public Administration Theory: Its’ Implication on Responsible Public Administration
공공기관의 사업 추진, 사회공헌 활동과 갈등 간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발전공기업 패널자료의 활용-An Exploratory Study of the Influence of Managerial Activities and CSR on Conflict in Public Enterprises : Based on Panel Data from Power Generation Public Enterprises
지역문화재단 조직 유형 비교 연구: 전국 광역문화재단 퍼지셋 이상형 분석Organizational Typologies of Local Cultural Foundations in Korea: A Fuzzy-Set Ideal Type Analysis at the Metropolitan/Provincial Level
지방정부 역량이 도시재생 정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사회자본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Analyzing the Impact of Local Government Capabilities on Urban Regeneration Policy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oderating Role of Social Capital
지역사회 사회복지종사자의 직무소진 정도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공·사 부문 사회복지종사자 간 비교를 중심으로An Analysis of the Job Burnout Degree and Influencing Factors of Social Welfare Workers at Local Government Level: With Reference to the Comparis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Sectors
다양한 해석학적 순환과 예감의 중요성Varieties of Hermeneutic Circle and Importance of Divination
이승만 행정부 파워엘리트의 구성과 변화: 장・차관을 중심으로The Configuration and Change of Power Elite under Lee Sungman Government: Minster and Vice-minister Level
공무원의 업무자율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및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A Study on the Effects of Job Autonomy over Innovative Behaviors of Public Official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Leader-Member Exchange
거버넌스 참여 이해관계자들의 목표 모호성에 관한 연구: 우리나라 열린 정부 위원회 활동 사례를 중심으로Goal Ambiguity of Multi Stakeholders in Collaborative Governance: A Case Study of the Korea’s Open Government Partnership
새로운 과학기술 정부규제에 대한 일반대중 태도 분석: 유전자교정(Gene Editing)기술 사례The Public Attitude to Government Regulation of the New Science and Technology: A Case of Gene Editing Technology
지역기반 사회복지기관의 재정 및 성과관리 진단과 분석Diagnosis and Analysis of Financial and Performance Management of Community-based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가구 형태와 성별에 따른 행복 결정 요인 분석: 1인 가구와 기혼 가구의 비교 연구An Empirical Analysis of Determinants of Happiness by Household Type and Gender: A Comparative Study of Single-Person and Married Households
고위관료가 되기 위한 핵심보직은 존재하는가?: 기획재정부의 고위관료를 중심으로 한 머신러닝 분석을 통해Identifying Key Positions for Advancement: Machine Learning Insights into High-Ranking Bureaucrats at the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in Korea
아프가니스탄 특별 기여자의 한국사회 정착 경험에 관한 연구: 부적응 경험과 경찰의 역할을 중심으로A Study on the Settlement Experiences of Afghan Special Contributors in South Korea: Focusing on Maladaptation Issues and the Role of the Police
한국 광역지방자치단체 공무직 임금의 결정요인 연구: 공무원 규모, 지역의 소득수준, 지역 재정수준을 중심으로Determinants of Wage Decisions for Public Employees in Korea: An Empirical Study
경쟁-지원 이동 관점에서 바라본 주관적 경력성공의 결정요인: 메타분석을 통한 탐색Determinants of Subjective Career Success from a Contest-Sponsored mobility perspective: A meta‐analysis
스마트 도시 정책 확산 메커니즘 연구Study on the Diffusion Mechanisms of Smart City Policies
공직 태도와 이직의도: 다중집단분석을 활용한 기성세대, M세대, Z세대 비교Does Public Servants’ Attitudes towards Public Service determine their Turnover Intention?: Comparison of the generation M, generation Z and Older generation Public Servants
조직혁신행동 영향요인 비교분석 : 조직문화 유형의 직접, 간접효과를 중심으로A Comparative Analysis of Impact of the Causal Factor on Organizational Innovation Behavior : Focusing on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Type
개념적 블렌딩을 활용한 행정 현상의 의미구성: 정부의 코로나19 대응 사례를 중심으로Meaning Construction Based on Conceptual Blending in Public Administration: Focusing on Government Responses to the COVID-19 Pandemic
공공기관 상임감사 채용 과정 개선 방안 연구: 국립대학교병원 지원 경험 사례를 중심으로A Study on Improving the Recruitment Process of Standing Auditors of Public Institutions: Focusing on Cases of Participation in Competition at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평가등급과 예산증감률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on Grades and Budget Increase Rates of Labor Market Programs in South Korea
한국 공공조직 구성원의 조용한 사직 영향요인 연구: 이직의도에 따른 조용한 사직 영향요인 간 차이를 중심으로Analyzing factors affecting Quiet Quitting of Korean Public Officials : Focusing on Differences by Turnover Intention
정부공정성 인식이 사회적 포용에 미치는 영향: 정부신뢰와 사회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The Impact of Perceptions of Government Fairness on Social Inclusion : Focusing on Mediating Roles of Trust in Government and Trust in Society
공공조직의 일하는 방식 혁신에 관한 연구 : 조직 구성원의 인식을 중심으로Research on Innovation in the Way of Working of Public Organizations : Focusing on the Perceptions of Organization Members
조직문화가 공무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밀레니얼세대와 Z세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Public Officials : Focusing on the Moderating Role of Millennials and Generation Z
공공조직의 변혁적 리더십과 이직의도 : 세대 간 조절효과 분석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urnover Intention in Public Organizations : An Analysis of Moderating Effects of Generational Differences
자체평가가 정부업무평가에 미치는 영향분석: 패널순서형 프로빗 모형 이용Analysis of the impact of self-evaluation on government performance evaluation : Using panel ordered probit model
공명리더십은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주도적 서비스수행을 어떻게 언제 증대시키는가?: 심리적 안전성과 조직동일시의 조절된 매개모형 검증How and When Does Resonant Leadership Increase Proactive Service Performance of Workers Working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 Verification of a Moderated Mediation Model of Psychological Safety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한국 국가의 기능별 재원 배분, 1948~2021The Korean State’s Functional Allocation of Financial Resources, 1948~2021
디지털전환 정책이 지방정부의 조직민첩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역동적 역량의 매개The Impact of Digital Transformation Policy on Organizational Agility in Korean Local Governments: The Mediating Role of Dynamic Capabilities
공공봉사동기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분배적 공정성과 목표명확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Examining the Effect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Do Distributive Justice and Goal Clarity Make a Difference?
보수에 대한 상대적 박탈감, 조직문화, 공공봉사동기: 조직문화의 조절역할 검토Relative Deprivation of Income, Organizational Culture,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직무스트레스와 변혁적 리더십의 관계에서 공직가치의 조절효과Moderating Effects of Public Service Valu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도시재생 뉴딜사업 참여 정도가 지역애착도에 미치는 영향 : 충주시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중심으로The Impact of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Participation on Regional Attachment : A Focus on Chungju-si
비선호시설 수용성 영향요인 탐색적 분석Exploring Factors Affecting Policy Acceptability of Non-preferred Facilities in Local Government
재분배정책 유형의 정책과 정치의 상호작용 분석: 국회 정책세미나의 참여자를 중심으로An Analysis of the Interactivity in Policy and Politics of Redistribution Policy Types: Focused on Participants in the National Assembly Policy Seminar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공공갈등 해결방식 예측 모형Predictive Model for Resolving Public Conflicts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
과학기술인력의 열의와 탈진 영향요인 분석 및 과학기술 인력정책의 전략적 방향: 확장된 직무요구-자원(Job Demand-Resource) 모형의 적용Analyzing factors affecting science & technology workers’ engagement and burnout and the strategies for science & technology workforce management: Applying the extended (JD-R: Job Demand-Resources) model
원자력 정책결정과 파워엘리트: 월성1호기 사례를 중심으로Power Elites and Nuclear Policy Making: A Case of Wolseong Unit 1
민원서비스 민간위탁의 함의: 서울교통공사 고객센터 상담업무 질적 사례분석Implications of contracting out civil affairs services: A Qualitative Case Study of Seoul Metro Customer Center Counseling Service
우리나라 재정건전성의 개선 가능성 탐색Exploring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the Fiscal Soundness of the Korean Government
국민연금 개혁 방안에 대한 평가An Evaluation of the National Pension Reform Plan
공공가치 창출론과 민주주의: Moore의 정치적 관리를 중심으로Public Value Creation and Democracy: Focused on Moore’s Political Management
MZ세대 공직자들의 공공봉사동기가 직무스트레스와 공직만족도에 미친 영향: 코로나19의 영향을 중심으로The Effects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of MZ Generation Public Officials on Job Stress and Public Service Job Satisfaction: Focused on the Impact of Covid-19
혁신 클러스터 정책의 효과성 분석: 현실인가 신기루인가?Effectiveness analysis of Innovative cluster policy: Is it reality or illusion?
행복 실현을 위한 정책의 난점 -행복의 측정, 과학적 연구와 정책 실행에서의 문제와 대안 모색Challenges in Public Policies for Realizing Happiness- Difficulties in Measuring Happiness, Undertaking Scientific Research, Implementing Happiness Policy, and the Search for Alternatives
주민자치회 참여 및 비참여 동기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노원구 중계본동 주민자치회를 중심으로1A Study on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and Non-participation of Resident Autonomy Council : Focusing on the Resident Autonomy Council of Junggyebon-dong, Nowon-gu, Seoul
공감리더십은 노인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역할 외 서비스행동을 증대시키는가?: 정서적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의 조절된 매개모형에 대한 검증Does Empathetic Leadership Increase Extra-Role Service Behavior of Social Workers Working in Senior Welfare Center?: Verification of a Moderated Mediation Model of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국정과제지표와 공공기관 조직성과: 공공기관 경영평가 지표체계의 우선순위 목표모호성을 중심으로Presidential Agenda Indicators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Public Institutions: Unraveling the Challenges of Goal Ambigu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