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산인지 관점에서 교사와 생성형 AI 간 상호작용 분석: 교육을 위한 ChatGPT 사용을 중심으로Analysis of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generative AI from a distributed cognitive perspective: Focusing on the use of ChatGPT for education
고등교육에서의 생성형 인공지능 교수학습전략에 대한 통합적 리뷰: 학습성과와 윤리적 고려를 중심으로An integrative review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teaching-learning strategies in higher education: Focusing on learning outcomes and ethical considerations
시계열 온라인 학습행동의 유형화: 학습동기 및 성취목표와의 관계 탐색Typology of time-series online learning behaviors: Exploring the relationship with learning motivation and achievement goals
AI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대한 초등학교 학부모의 기대와 우려 비교 분석Analyzing elementary school parents' perspectives: Expectations and concerns about AI digital textbooks
예비교사를 위한 메타버스 기반 난독증 이해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Development of metaverse-based dyslexia comprehension program and exploration of effectiveness
학습용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연구의 체계적 문헌 분석 - 학습맥락 및 학습결과를 중심으로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educational mobile application development - Focusing on learning contexts and learning outcomes
중등 예비교사의 디지털 역량 함양을 위한 디지털 교육 교과목 개발 연구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igital education courses to cultivate digital competency of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강의 유형(오프라인 vs. 온라인)에 따른 수강생 몰입: 지각된 매체 풍부성과 사회적 실재감의 직렬다중매개효과Student flow by lecture type (offline vs. online): Serial multiple mediation effects of perceived media richness and social presence
구직 청년의 자기주도 학습력과 이러닝 학습 경험이 구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유의미 학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The mediating effect of meaningful learn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e-learning experience, and job-seeking efficacy among young job seekers
물리학 탐구 과정을 지원하는 시뮬레이션 기반 AI 시스템 프로토타입 개발Development of a prototype simulation-based AI system to support physics inquiry learning
확장현실 기반 협력학습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collaborative learning in the XR-based learning environment
국내 중등 교과별 AI 융합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A meta-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AI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in secondary education in Korea
생성형 AI(Generative AI) 피드백 활용 학습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generative AI feedback in Learning
프로그래밍 문제해결 단계별 생성형 인공지능의 교육적 효과 탐색Exploring the educational effects of generative AI across programming problem-solving stages
교실 학습의 상황별 에듀테크 활용을 위한 분류 체계 탐색Developing an EdTech classification framework to support contextual use in a classroom learning
대학생의 숏폼 과의존이 인지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와 자기조절능력의 조절된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hort-form video dependency and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among university students
VR 연습과 비디오녹화 연습이 영어 말하기 불안과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비교Comparison of the effects of VR practice and video recording practice on english speaking anxiety and self-efficacy
CIPP 평가모형 기반 교수지원 프로그램 평가도구 고도화 연구: A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CIPP Evaluation model-based study on the enhancement of assessment tools for faculty development program: Based on the case of A university
생성형 AI와 전문 튜터의 개별지도를 적용한 디지털 글쓰기 교과목의 효과 연구Research on the impact of a digital writing course integrating generative AI and individualized tutoring
메타버스 기반 국악 수업에 대한 국악 전공자들의 인식 및 경험 연구A study on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majors regarding the use of the metaverse
미디어 교육 강사의 디지털 역량 모형에 대한 탐색적 연구: 역량 강화 요구도와 우선순위를 중심으로An exploratory study of media education instructors’ digital competency models: Based on your empowerment needs and priorities
CSCL에서 균형 있는 참여(balanced participation)를 촉진하는 교수자 대시보드에 대한 인식 탐색Teachers’ perceptions of an actionable teacher dashboard promoting balanced participation in CSCL
국내 초등교육에서 AI 활용 교육과 AI 융합 교육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A scoping review of AI utilization and AI convergence education in Korean elementary education
TTV(Text to Video) AI의 수업 활용을 위한 체크리스트 개발Development of a checklist for integrating TTV(Text-to-Video) AI in teaching
예비교사를 위한 생성형AI챗봇 활용 데이터 기반 맞춤형 수업 설계 프로그램 개발연구Development research on data-driven personalized instruction for pre-service teachers using a generative AI chatbot
학습 과정에서 AI의 교육적 활용이 AI 리터러시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탐색Exploring the impact of educational use of AI in the learning process on AI literacy and learning outcomes
데이터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AI 융합 SSI(Socioscientific Issue) 수업 모형 및 교수전략 개발A developmental study of an instructional model and strategies for SSI(Socioscientific Issue) instruction with AI convergence to improve data literacy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블렌디드 수업이 간호대학생의 디지털리터러시 역량, 학습몰입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Effect of blended learning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on digital literacy competency, learning immers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생성형 AI 활용 학습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연구: 자기조절학습을 중심으로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the educational use of generative AI: Focusing on self-regulated learning
K-MOOC 학술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분석: 2015년부터 2024년 국내 논문을 중심으로A systematic review of K-MOOC research over the past 10 years (2015-2024)
AI 기반 교수․학습 플랫폼에 대한 교사의 수용 수준 및 개선 방안 탐색Exploring teachers’ acceptance levels and improvement strategies for AI-based teaching and learning platforms
예비교사의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수업에서 생성형 AI 활용 효과 및 학습 경험 탐색: 텍스트 마이닝을 중심으로Exploring the effectiveness and learning experience of using generative AI in pre-service teachers’ data-driven decision-making classes: Focusing on text mining
대학 플립러닝 사전학습 콘텐츠에 대한 학습 행동과 메타인지에 따른 군집 특성 분석A cluster analysis of pre-class content learning behaviors and metacognition in university flipped learning
수업설계 활동에서 ChatGPT 활용 순서에 따른 예비교사의 인식 차이 탐색Exploring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differences based on the order of ChatGPT utilization in instructional design activities
국내 AI기반 적응형 학습 플랫폼 활용 교육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Meta-analysis of the educational effects of utilizing AI-based adaptive learning platforms in South Korea
인공신경망 분석을 통한 교육소외 청소년의 교육포부 미결정 예측모형 분석과 교육적 처치 방향 탐색Analysis of the indeterminacy of educational aspirations for underprivileged youth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d exploration of educational strategies.
학습자와 AI 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Exploring factors influencing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AI
컴퓨터기반 협력학습(CSCL) 연구에서의 인식연결망분석(ENA) 활용 동향 탐색: 체계적 문헌고찰을 적용하여Epistemic network analysis (ENA) in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CSCL) research: Insights from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가상현실 기반 치과 진료 자세 교육 시스템 개발 및 평가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virtual reality system for dental ergonomic training
HTHT(High Tech High Touch) 교수법의 연도별(2011-2023), 대학 계열별 연구 동향 분석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HTHT (high tech high touch) teaching methods by year (2011-2023) and academic disciplines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웨어러블 테크놀로지 활용 중재 연구 동향A systematic review of WT-based interventions for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게임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학술지 논문의 텍스트마이닝을 중심으로Research trends on the educational use of games using text mining of academic journal articles
메타버스 기반 학습환경에서 문제해결형 데이터 분석 수업이 학습자의 데이터 리터러시와 학습 흥미에 미치는 영향The impact of problem-solving data analysis lessons in metaverse- based learning environment on learners’ data literacy and learning interest
메타버스 활용 수업과 지원체계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A study on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support system on the instruction using metaverse
교원의 AI․디지털 역량 함양을 위한 시도교육청별 현직 교원 연수 현황 분석 및 평가Analysis and evaluation of teacher training for enhancing teachers’ AI and digital competence
개별 맞춤형 학습을 위한 초등교육용 AI 학습플랫폼 분석 및 교사 인식 탐구Analysis of AI Learning platforms for personalized learning in elementary education and exploration of teachers’ perceptions
대학생의 인간-AI 협력 역량 프로파일 탐색Latent profiles of human-AI collaboration competency among college students
메타버스 가상캠퍼스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조사Investigating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the metaverse virtual campuses
데이터 기반 맞춤형 수업을 위한 교사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An analysis of teachers’ educational needs for data based personalized instruction
다이내믹 토픽 모델링을 통한 2010년대 중반 이후 학습분석학 해외 연구 동향 분석Analysis of global research trends in learning analytics since the mid-2010s through dynamic topic modeling